뉴스 > 출판

[논문]지식정보사회와 그 불교적 의미

김선아   
입력 : 2001-05-04  | 수정 : 2001-05-04
+ -
Ⅱ. 지식정보사회의 시작과 불교적 관점 1. 정보화 사회의 개념 미래사회를 '정보화 사회'라는 한마디로 대변할 수는 없지만, 미래사회를 연구하는 사회학자나 경제학자들은 대체적으로 정보화사회를 미래사회의 가장 큰 특징으로 보고 있다. 비록 각 학자들마다 정보사회에 대한 개념은 상이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대체로 정보화 사회는 산업사회가 일정수준으로 발전 성숙하여 출현한 사회로서, 컴퓨터에 의해 주도되는 풍부한 정보가 빠르고 유용하게 분배되어 모든 사회구성원들이 적은 비용으로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사회로 정의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지식정보사회에서는 지식의 가치가 상승하며, 지식창출에 있어 인간의 창조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2. 지식정보화 사회의 특성과 불교적 관점 지식정보화는 경제와 같은 어느 특정분야에서만 적용되는 사회현상이 아니라 국가 전체적인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다차원적인 개념이어야 하고, 기업 경쟁력과 국가 경쟁력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 전체적인 지식정보의 기반이다. 그러므로 지식화와 정보화는 별개의 개념으로 인식되어서는 안 된다. 지식화와 정보화는 상호 밀접하게 연계된 사회현상이며 이를 종합적인 지식정보화로 보는 것이 옳다. 따라서 세계적으로 정보화 사회에 대비한 정보통신 기술과 뉴미디어 개발이 국가적인 사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인류의 이상을 실현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활발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정보가 경제 가치로 환산되고 공유하려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정보가 지닌 영향력과 중요성이 커질수록 부작용도 심해진다. 실제로 PC통신 등의 정보통신망은 최근 각종 컴퓨터 범죄로 인해 순수 정보가치의 모습을 잃어가고 있다. 사이버 음란물 유통과 사생활 침해 사례도 도를 넘는 수준에 이르렀고, 정보사회의 발전과 함께 등장한 이러한 문제는 새로운 '정보윤리'의 개념을 탄생시키고 있다. 정보윤리는 사이버공간의 계율인 동시에 근본적으로는 현실의 윤리와 근본적으로 다르지 않으며, 현실의 윤리는 전통적인 도덕적 윤리에서 비롯된 것이며 불교적 윤리와도 다르지 않다. 따라서 정보윤리의 성격은 불교에 있어서 지계와 그 기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사이버 범죄는 불교의 오계-불교의 가장 기본적인 계로써 불살생(不殺生), 불투도(不偸盜), 불사음(不邪 ), 불망어(不妄語), 불음주(不飮酒)-를 통해서도 충분히 그 해결이 가능하다. Ⅲ. 지식경영의 등장 배경과 중요성 지식경영이란 말은 갑자기 나타난 말이 아니다. 지식경영은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무한히 솟아나는 자원인 지식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그리고 그 지식을 통해 기업과 조직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정보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등장한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지식경영에 대한 일반적 정의는 대부분 '지식'의 창출과 공유·저장·재활용이라는 기본적 틀 아래서 조직내의 지식활용을 극대화하여 핵심역량을 키우는데 그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지식경영에 대해 연구가 활발해 지고 관심분야의 하나로 등장하는 이유는 첫째, 지식정보화 사회의 급격한 발전과 무형자산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변화에 기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