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한국의 육자진언

진도 쌍계사 동종
진도 쌍계사는 진도 사천리의 첨찰산 기슭에 위치한 사찰이다. 이 사찰은 신라말기 도선국사가 창건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조선후기 크게 중창되면서 오늘날까지 법등을 잇고 있다. 이 동종은 대웅전 내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후기 종으로 단룡으로 용뉴를 구비했다. 천판 외곽에는 립상화문을 장식하였으며, 종신 상대에는 원형문을 마련하여 범자를 새겨 넣었다. 종신 중간에는 사각형 유곽과 종명을 새겼다. 이 동종은 종명에 의하여 쌍계사에서 주조된 것으로 1720년 8월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2024-12-27
공주 영은사 서산 문수사명 동종
공주 령은사는 백제시대에 창건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후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도 꾸준하게 중창되면서 법등이 지속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동종은 전형적인 조선후기 양식을 취하고 있다. 천판 상부 한가운데에는 단룡으로 용뉴를 구비하였고, 종신 상대 부분에는 32개의 원형문 안에 육자진언의 범자 진언을 새겨 넣었다. 그리고 종신 상부에는 사각형 유곽과 보살상을 조각했으며, 종신 하부에 종명을 새겼다. 종신 하대에는 화려한 연화당초문을 장식했다. 이 동종은 종명에 의하여 1715년 3월 서산 상왕 문수사 금종으로 주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2024-11-28
구례 천은사 숭암사명 동종
구례 천은사는 신라말기 창건되어 처음에는 감로사라 했다고 한다.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어 그 이후 중창되었으며, 여러 고승들이 머물면서 대찰의 면모를 갖추었다. 현재 많은 유물들이 소장되어 있는데, 그중에 조선후기 전형적인 양식의 동종이 있다. 이 동종은 쌍용을 용뉴로 구비하였으며, 종신에 상대와 하대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종신 상부에 사각형 유곽과 보살상을 배치하였으며, 종신 중간에 종명을 새겼다. 이 동종은 종명에 의하여 원래는 전라도 용담 숭암사 대종으로 1715년 4월 주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종신 상대에 원형문을 마련해 그 안에 육자대명왕진언을 배치했다.
2024-10-30
고성 옥천사 대웅전 동종
고성 옥천사는 연화산 자락에 위치한 사찰로 임진왜란 이후인 조선후기 여러 고승들에 의하여 중창을 거듭하면서 대찰의 면모를 유지했다. 조선후기 건립된 대웅전 안에 동종이 봉안되어 있는데, 간략한 주조기법을 보이고 있다. 동종의 천판 상부에는 쌍룡이 배치되어 용뉴로 구비되었으며, 종신 중간에 사각형 유곽과 보살입상이 배치됐다. 종신 하부에 종명이 새겨져 있고, 하대는 마련되지 않았다. 종신 상부에 원형문을 마련해 그 안에 1자씩 범자를 새겼는데, 육자진언을 원형으로 배치했다.
2024-10-02
천안 광덕사명 동종
이 동종은 동원수집품으로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동종의 천판 상면 한가운데에는 쌍룡으로 용뉴를 구비했으며, 종신의 상대 부분에는 사각형 안에 원형문을 마련하여 범자 진언을 새겨 넣었다. 종신 상부에는 보살입상을 조각했으며, 종신 하부에 종명을 새기고, 그 아래에는 연화당초문을 장식한 하대를 마련했다. 이 동종은 종명에 의하여 천안 광덕사에서 주조된 종임을 알 수 있다
2024-08-28
고성 옥천사 동종
고성 옥천사는 고성 연화산 자락에 위치한 사찰로 신라시대 의상이 창건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그 이후 고려시대에는 진각국사 혜심이 중창했다고 하며, 임진왜란 때 소실되자 조선후기 유력한 승려들이 주석하면서 중창되어 오늘날까지 법등을 잇고 있다. 이 동종은 제작 기법이 우수한 조선후기 전형적인 종으로 천판 상부에는 쌍룡을 좌우로 배치해 용뉴를 구비했다. 하대는 종신에서 일정한 높이에 마련했으며, 종신 중간에는 사각형 유곽과 삼존불입상을 배치했다. 종신의 상대는 2줄로 범자 진언을 배치했다. 이 동종은 종명에 의하여 1701년 8월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상대에 다른 진언과 함께 육자진언도 배치했다.
2024-07-01
고흥 능가사 동종
고흥 릉가사는 고흥 팔영산 자락에 위치한 고찰로 넓은 평지에 자리 잡고 있는 사찰이다. 이 사찰은 신라시대 아도화상이 창건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조선후기 들어와 대대적인 중창이 이루어졌다. 이 동종은 상당히 우수한 제작 기법과 화려한 문양을 보여주고 있다. 동종의 天板 한가운데에는 쌍룡을 활용하여 용뉴를 구비하였고, 그 주변으로 연화문을 장식했다. 종신 상부에는 사각형 유곽과 보살상을 배치하고 그 아래에는 태극문을 표현했다. 하대는 화려한 보상화 당초문을 장식했다. 이 동종은 종명에 의하여 1698년 3월에 팔영산 능가사에서 조성했음을 알 수 있으며, 종신 상부에 육자진언을 2회 반복하여 배치했다.
2024-05-29
남원 실상사 동종
남원 실상사는 신라시대 창건된 사찰로 신라말기 최초의 선종산문이기도 했다. 실상사는 신라시대 이후 여러 고승들이 머물면서 유력한 사찰로서 불교 신앙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해 왔다. 실상사 동종은 간략한 주조 기법을 보이고 있지만 종신 표면에 다양한 문양판으로 화려하게 제작했음을 알 수 있다. 종신 하부에 종명을 새겼으며, 중간에 사각형 유곽과 보살상을 배치했다. 종신 상부에 원형문을 마련하여 그 안에 1자씩 범자를 새겨 2회 반복하여 육자대명왕진언을 배치했다.
2024-04-29
고성 운흥사 동종
이 동종은 원래 경상남도 고성 운흥사에 있었던 종인데, 현재는 일본 근진미술관에 소장 전시되어 있다. 종신 표면의 음각된 명문에 의하여 동종의 원위치와 조성 시기 등을 알 수 있다. 동종의 천판 한가운데에는 쌍용뉴를 마련해 걸 수 있도록 시공했으며, 종신의 상부에 원형문을 마련해 그 안에 1자씩 범자를 새겼다. 종신 중앙에는 사각형 유곽과 보살상을 배치했으며, 하대에는 연화당초문을 장식했다. 이 동종은 종신 상부에 원형문을 마련해 그 안에 1자씩 총 12자로 륙자대명왕진언을 2회 반복했다.
2024-03-28
부안 개암사 동종
부안 개암사는 백제 묘련이 634년 창건한 사찰로 전하고 있다. 그 이후 고려시대 중창되었으며, 조선시대에도 꾸준하게 중창되어 오늘날까지 법등을 잇고 있다. 동종의 천판 한가운데에는 음통과 용뉴가 마련되었으며, 종신 상대에는 범자 진언을 배치하였다. 종신 상부에는 사각형 유곽과 보살상을 배치하였으며, 하대는 연화당초문을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종신 하부에 새겨진 종명에 의하여 1689年 4月에 개암사에서 주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종신 상대에 원형문을 마련하여 그 안에 육자대명왕진언과 파지옥진언이 반복되어 있다.
2024-02-27
수원 만의사(팔달문) 동종
이 동종은 원래 경기도 화성의 만의사 동종으로 주조되었는데, 수원 화성 건설과 함께 종각으로 옮겨지면서 팔달문 동종이라 불렀다. 이 동종은 종신의 기록을 통하여 1080년 처음 주조되었다가 1687년 경기도 수원부 만의사 대종으로 새롭게 주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종신의 하대에는 화려한 문양이 장식되었으며, 종신에 명문을 새겼다. 종신 상부에는 유곽과 보살입상을 배치했으며, 상대에 원형문을 마련하여 그 안에 범자 진언을 새겼다. 동종의 상대에는 육자대명왕진언과 파지옥진언을 새겼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육자대명왕진언만 여러 번 반복하여 새겼다. 현재 이 동종은 수원역사박물관에 소장 전시되고 있다.
2024-01-29
양산 통도사 동종
이 동종은 조선후기 유명한 장인이었던 사인 비구가 관여하여 만든 동종의 하나로 우수한 제작기법을 보이고 있다. 동종은 당시 200여명의 시주자가 참여하여 불교 신앙이 널리 유포되어 있었음을 가늠할 수 있게 한다. 종신의 하대는 연화당초문을 화려하게 장식하였으며, 종신 상부에 사각형 유곽과 보살상을 배치하였다. 그리고 종신 상대에 2줄로 범자 진언을 배치하였는데, 육자대명왕진언과 파지옥진언이다. 이 동종은 종신 가운데 양각된 종명에 의하여 1686년 4월에 통도사의 대종으로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2023-11-29
서울 화계사 희방사명 동종
이 동종은 현재 서울 화계사 종각에 걸려 있는데, 종명에 의하면 원래는 경상도 소백산 희방사 대종으로 1683년 4월에 주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동종은 조선후기 유명한 장인이었던 사인 비구가 관여하여 제작된 동종으로 우수한 주조 기법을 보이고 있다. 종신의 하대는 연화당초문이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으며, 종신 중간에 종명이 새겨져 있고, 종신 상부에 사각형 유곽과 위패형 제액이 마련되었다. 그리고 종신 상대에 2줄로 범자 진언을 새겼는데, 육자대명왕진언과 파지옥진언을 반복하여 새겨 넣었다.
2023-09-22
서울 봉은사 장경사명 동종
이 동종은 서울 봉은사에 소장되어 있는데, 원래는 경기도 광주부 읍내 남한산성에 있었던 장경사에서 동 300근을 활용하여 조성한 것이다. 동종은 전형적인 조선후기 양식을 취하고 있다. 동종의 천판 한가운데에는 용뉴와 음통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종신 상부에는 2줄로 범자 진언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사각형 유곽과 보살입상이 표현되었다. 종신 중간에 종명이 길게 양각되었으며, 하대는 연화당초문이 화려하게 장식되었다. 이 동종은 1682년 3월 주조되었으며, 상대에는 육자대명왕진언과 파지옥진언이 반복되어 있다.
2023-08-30
안성 청룡사 동종
안성 청룡사는 안성의 서운산 기슭에 위치한 사찰로 고려시대 창건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 이후 고려말기 나옹화상이 크게 중창하였다고 하며, 조선후기 대대적으로 중창되어 오늘날까지 법등이 이어지고 있다. 동종은 조선후기 전형적인 양식을 취하고 있는데, 天板 한가운데 음통과 용뉴가 마련됐으며, 그 외곽에는 2줄로 범자 진언을 새겼는데, 륙자대명왕진언과 파지옥진언을 새겨 넣었다. 종신 상부에 사각형 유곽과 보살상을 배치했으며, 하대에는 연화당초문을 화려하게 장식했다. 이 동종은 종명에 의하여 1674년 4월에 주조되었으며, 사인 비구 등이 관여해 조성했음을 알 수 있다.
2023-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