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사설

사설(433호)

지현 주필   
입력 : 2005-08-31  | 수정 : 2005-08-31
+ -
언론의 불교폄하사태 좌시해선 안된다 중앙 유수의 언론인 '월간중앙'이 7, 8월호에서 연속적으로 불교를 포함한 성직자들의 일탈행위를 분별 없이 게재하여 물의를 낳고 있다. 물론 게재 과정을 보면 해당 언론사 자체의 의도적인 기획이라기 보다, 프리랜서의 '성담론' 글을 그대로 옮겨 실은 데서 문제가 생긴 것이다. 불교계가 이번 사태에 대해 한국불교종단협의회를 중심으로 민감하게 대응하는 것은 이와 같은 글들이 작가의 순수성을 십분 이해한다고 해도, 전체 교단 및 성직자들의 이미지에 심대한 손상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불교계의 반응을 과민대응이라고 할 것이 아니라, 공신력 있는 언론지로서는 신중치 못한 처사에 대해 반드시 사과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하는 것이다. 불교계도 앞뒤 사정을 제쳐놓고 행간 내용만을 가지고 문제를 확대할 것은 아니다. 이러한 글들이 일반 단행본 책자로 출판되었다면 쉽게 지나칠 수 있는 내용들이기 때문에 오히려 이번을 계기로 유사사태에 대응하는 방식과 성직자들의 도덕성에 관한 자성의 계기로 삼을 필요가 있다고 본다. 성직자들의 도덕적 관념에 대한 일반의 잣대는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냉소적이거나 준엄하다. 그렇기에 생활 속에 파고드는 대중적 종단이 나오는 것이고, 그것이 현대화의 방식이며 시대 근기에 따른 중생교화의 방편인 것이다. 지나치게 세속화하거나 직업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도장치만 마련된다면 생활불교 종단에 대한 위의는 더욱 확고해 질 수밖에 없는 것이 시대의 추이이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불교를 포함한 모든 성직들은 다시금 자정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 작금의 우리 사회는 지나친 성도덕 개념의 문란으로 인하여 가정 지키는 물론 제대로 수행하기 어려운 환경 속에 처해있다. 공중파, 대중매체, 인터넷 등에서 무시로 쏟아내는 노출과 퇴폐의 환경은 포교는 물론 자신의 보호까지도 어렵게 만드는 것이다. 쓰레기 더미에서 연꽃이 피듯이 스스로의 자정 노력과 시대에 맞는 포교조직의 방편을 구축하는 것만이 불법의 미래를 약속하는 길이다. 진각종 전라교구청 신설의 의미 진각종단의 호남교화를 담당하는 구심체인 전라교구청이 신설되었다. 진각성존 회당 대종사께서 역사적인 5도 파견불사를 통해 전주에 항수심인당을 개설한지 50여 년만의 일이다. 전라교구청의 신설로 진각종단의 지방 조직은 모두 7개 교구청으로 늘어나게 되었다. 시도 권역으로서는 강원권과 제주도를 제외하고는 모든 권역에 교구청을 지니게 된 셈이다. 교구청은 현교의 교구에 해당하는 행정조직으로 중앙 통리원의 지휘를 받아 해당 지역의 일선 도량인 심인당의 교화와 행정을 지원하는 체계이다. 전라교구청의 신설은 만세지탄의 감은 있으나, 진각종단의 정체성을 다시금 되짚어 보는 계기가 되게 한다. 진각종단은 대구를 중심으로 한 영남에서 탄생한 종단이기에 대부분의 교세가 영남에 집중되어 있다. 호남은 이번에 교구청이 개설된다고 해도 대구교구청에 비해 비교가 되지 않는 교세를 가지고 있다. 교구청의 개념이 지역적 권역을 기반으로 한 것이기는 해도 교세의 현황을 감안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전라교구청의 신설은 늦어질 수밖에 없었다. 전라교구청 신설의 의미는 무엇보다 교화의 균형 있는 발전이다. 이는 최근 정부가 많은 중앙부처를 지방으로 이전해서라도 지역발전을 꾀하려고 하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따라서 늦게 여러 가지 종책적 차원에서 교구청이 개설되는 만큼 전라교구청에 대한 중앙부처의 지원과 관심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본다. 이 밖에 강원지역의 포교도 통일에 대비한 포교전략 차원에서 새롭게 수립되는 계기가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전국 각 지역의 균형 있는 교화발전을 위해서는 종단 차원의 기구 및 시설들을 그 지역에 배치하는 방법도 있고, 각종 단위행사를 유치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특히 진각복지재단을 통한 접근방식도 매우 유용한 방편이 될 수 있다고 보여진다. 서해안시대를 맞아 전라교구청의 신설을 계기로 호남교화가 만개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