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출판

법문사와 상원사 만다라 제존의 표현원리

정유제 기자   
입력 : 2003-12-16  | 수정 : 2003-12-16
+ -
/ 허일범 / 회당학회 기획이사- 진각대 교수 금강·태장계만다라 일부합치 동질성 조성 계기와 목적상 독특한 양상보여 중국 법문사 지궁에서 출토된 봉진신보살 좌대의 인각만다라와 한국 상원사의 문수보살복장유물에서 발견된 종자만다라에서 독특한 양상으로 전개된 만다라를 접할 수 있다. 이들 두 만다라는 각각 중국 당대와 한국 고려대에 조성된 것으로 400여 년의 시간적 선후관계가 있지만 조성의 목적이나 내용의 표현방식에 있어서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즉 두 유물은 사리공양에 의한 공덕성취와 복장유물의 봉안을 통한 치병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작된 것이다. 내용적으로는 금강계만다라와 태장계만다라의 일부를 합치시킨 형태라는 점에서 동질성을 가지며 다같이 금강계 오불종자진언과 법보화 3신진언, 관세음보살 내지 육자대명왕진언과 관련이 있다는 공통점도 있다. 그러나 법문사와 상원사 만다라는 각각 공양존 봉진신보살과 복장존 문수보살의 조성을 계기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두 만다라는 목적상 독특한 양상을 띠고 있다. 그 첫 번째로 법문사만다라는 좌대에 인각한 입체만다라의 형태이고, 상원사의 만다라는 의복에 문양을 넣은 형태의 만다라이다. 따라서 표현방식에서도 법문사만다라의 경우는 부조와 음각 등을 통해서 존형과 종자 등을 나타냈으며, 상원사만다라의 경우는 목판에 새긴 종자만다라도를 의복에 먹물로 찍어서 나타냈다. 두 번째로 법문사만다라는 성격을 달리 하는 존격과 만다라 제존 사이에 매개체적 역할을 하는 3신진언이나 오불종자 등을 활용하고 있으며, 상원사만다라의 경우는 종자만다라 본체부와 다라니 발원부 사이의 경계를 팔엽연화로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세 번째로 법문사만다라의 경우 중단의 사천왕상을 중심으로 좌대의 상단을 금강계만다라 37존의 존격과 종자로 나타내고, 하단을 팔엽 중의 태장사불사보살의 종자와 팔대명왕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이것은 근본적으로 태장만다라의 편지부와 지명부의 구조를 전용한 것이다. 좌대 상단 위 부분의 3신진언은 편지부의 삼각인이 상징하는 법보화 3신의 광명을 나타낸 것이고, 좌대 하단 밑바닥의 십자갈마저는 지명부의 명왕이 나타내는 교령륜신의 역할을 상징화한 것이다. 네 번째로 좌대 상단의 3신진언과 봉진신보살상의 관계는 현 단계에서 단정적으로 말하기 어려운 면이 있지만 3신진언과 육자진언을 함께 나타내고 있는 상원사 황소복자의 경우를 볼 때 서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