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문화/문화재

불교문화사업단, 한국전통사찰순례 회향식 성료
한국불교문화사업단(단장 원경 스님·이하 문화사업단)은 4월 18일 템플스테이통합정보센터에서 2022년 제1차 한국 전통사찰 순례 회향 증서 수여식을 진행했다. 회향 증서는 문화사업단이 발간하는 전통사찰 순례 책자인 ‘한국 33관음성지’에 기재된 사찰 33곳을 방문하고, 책자에 해당 사찰의 인장을 모두 찍으면 받을 수 있다. 이번에는 총 16명이 회향을 마쳤으며, 이 중 6명이 수여식에 참석했다. 문화사업단 사무국장 덕운 스님은 “스님들도 순례는 매우 힘든 일”이라며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무사히 여정을 마친 것에 대해 축하드린다”고 전했다. 문화사업단은 1차 회향식에 이어 7월과 11월에 2차 및 3차 회향식을 진행할 예정이다. 문화사업단은 지난 2008년 한일 관광교류의 해를 맞이해 한국 전통사찰 순례를 기획해 지금까지 총 99명에게 회향 증서를 수여했다. 한국전통사찰순례 책자 관련 문의 및 회향 완료 접수는 문화사업단 홍보관으로 하면 된다.이재우 기자 san1080@nate.co...
2022-04-20
‘스크린과 불교의 만남’, 제39회 부산국제단편영화제
제39회 부산국제단편영화제에서 불교를 주제로 다룬 ‘부처님 영화 보러 오신 날’을 통해 관객에게 이색 프로그램을 선보인다.제39회 부산국제단편영화제는 4월 6일 공식 홈페이지 오픈을 통해 올해의 상영작 및 부대행사, 상영 일정을 공개했다. ‘영화의 확장’이라는 주제를 통해 총 48개국 154편의 단편영화가 상영되는 제39회 부산국제단편영화제에서 아시아 단편영화를 소개하는 ‘아시아 쇼츠 섹션’은 그동안 아시아 문화에 많은 영향을 끼친 ‘불교’를 주제로 한 프로그램을 소개했다.아시아 단편영화의 허브 역할을 하는 부산국제단편영화제는 영화제 시즌과 비슷한 시기의 ‘부처님오신날’에 앞서 불교 정신을 스크린에서 만날 수 있는 ‘부처님 영화 보러 오신 날’을 특별 기획했다.부산국제단편영화제 프로그래머 심세부는 “불교의 인물, 철학, 사원 등은 전 세계, 특히 아시아의 많은 문화에 영향을 끼쳐왔다”며 “그중에서도 특히 불교의 ‘윤회’ 정신을 담은 6편의 작품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했다”고 전했다.5월...
2022-04-18
봉축음악회 ‘평화의 노래-부처님의 노래’ 개최
조계종 불교음악원(원장 박범훈)은 불기 2566년 부처님오신날을 맞아 4월 24일 오후 5시 봉은사 미륵전 특설무대에서 봉축음악회 ‘평화의 노래-부처님의 노래’를 개최한다.이번 봉축음악회는 조계종 최초 성악을 전공한 청년 불자들로 이루어진 ‘봉은사 불음청년합창단’의 창단을 알리고 전쟁 종식과 평화를 향한 염원을 담아 부처님의 가르침을 음악으로 전하는 공연으로 마련됐다.1부 자유에서는 ‘아리랑 환상곡’, ‘보렴’, ‘아름다운 나라’를, 2부 평화에서는 ‘교성곡 붓다 중 탄생’ ‘자유 평화 행복’ ‘총각타령’ ‘향수’를, 3부 행복에서는 ‘꽃 공양 올리세’ ‘부모은중송’ ‘수례바퀴 굴려 가리라’를 선보인다.불교음악원 측은 “찬불가를 비롯한 다채로운 음악을 통해 음악회를 찾은 분들이 마음을 치유하고 고단한 일상에서 벗어나 휴식의 시간일 보내시길 바란다”고 전했다.김보배 기자 84bebe@hanmail.net
2022-04-18
‘전국 사찰 불단 일제조사’·‘한국의 고승 진영 정밀 학술조사’ 보고서 발간
2021년 전국 사찰 불단 일제조사 보고서(사진=문화재청) 불교문화재연구소(소장 제정 스님)와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이 함께 공동 추진하고 있는 ‘2021년 전국 사찰 불단 일제조사’와 ‘한국의 고승 진영 정밀 학술조사’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각각 발간했다. ‘2021년 전국 사찰 불단 일제조사’ 보고서는 지난해 조사한 △순천 정혜사 대웅전(보물) △양산 통도사 대웅전(국보) △부산 범어사 대웅전(보물) △창녕 관룡사 대웅전(보물) △기장 장안사 대웅전(보물) 등의 불단을 포함한 전남Ⅱ·부산·울산·경남 지역 11개 사찰의 불단에 대한 결과이다.올해에는 전남 순천 선암사를 비롯해 예산 수덕사, 공주 마곡사, 보은 법주사 등 충청 지역 9개 사찰을 대상으로 불단 16점과 장엄구 13점에 대한 정밀조사와 원형 디지털 기록화, 보존과학 조사 등을 수행할 예정이다.‘한국의 고승 진영 정밀 학술조사’ 보고서는 202021년도에 조사한 광주·전남·경남 지역의 △순...
2022-04-18
국립중앙박물관, ‘예산 수덕사 괘불’ 전시
수덕사 괘불(사진=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민병찬)은 불기 2566년 부처님오신날을 기념해 4월 13일부터 상설전시관 2층 불교회화실에서 보물 ‘예산 수덕사 괘불’을 전시한다. 수덕사 괘불은 높이 10m, 너비 7.4m, 무게 150kg이 넘는 대형 괘불이다. 괘불을 보관하는 함까지 포함하면 380kg이 넘는다.이번 괘불전에는 보물 ‘수덕사 대웅전 목조연화대좌’를 함께 선보인다. 고려 14세기에 조성된 이 연화대좌는 지금까지 확인된 유일한 고려시대 목조연화대좌로, 전시를 위해 처음으로 사찰 밖에 나왔다.이밖에 모란, 작약, 나리를 비롯해 연꽃, 부들, 벗풀 등이 그려진 ‘수덕사 대웅전 벽화 모사도’ 전시한다. 모사도에는 고려시대 문인 이규보(1168~1241)의 시에서 여러 차례 언급되는 맨드라미(계관화)도 그려져 있다. 불전에 올리는 공양화를 그린 벽화로 고려의 원예전통과 고려인이 사랑한 꽃까지 만나볼 수 있다.이재우 기자 san1080@n...
2022-04-11
문화사업단, 한국사회복지협의회와 업무협약 체결
한국불교문화사업단(단장 원경 스님·이하 문화사업단)과 한국사회복지협의회(회장 서상목)는 4월 6일 한국사회복지회관에서 ‘사회복지자원봉사 참여 활성화를 위한 템플스테이 체험 지원’ 업무협약을 체결했다.문화사업단은 “자원봉사자에게 템플스테이 체험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자원봉사에 대한 동기부여를 강화하고, 템플스테이 체험을 통해 ‘쉼’을 느끼며 자원봉사활동을 확대하는 선순환 구조를 확립할 수 있을 것”이라 밝혔다. 이재우 기자 san1080@nate.com
2022-04-07
삼국유사 등 3건 세계기록유산 아태 지역목록 등재 신청 예정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세계기록유산 한국위원회가 오는 6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 지역목록 등재를 신청할 기록물로 ‘삼국유사’와 ‘내방가사’, ‘태안 유류피해 극복 기록물’ 등 3건을 선정했다고 밝혔다.‘삼국유사’는 고려 일연 스님이 1281년(고려 충렬왕 7년) 편찬한 책으로 한반도의 고대 신화와 역사, 종교, 생활, 문학 등을 포함한 종합서다.‘내방가사’는 18~20세기 초, 조선 시대 여성들이 주도적으로 창작한 집단문학 작품을 필사로 적은 기록물이다. ‘태안 유류피해 극복 기록물’은 2007년 12월 충남 태안에서 발생한 대형 유류 유출 사고와 극복과정을 담은 기록물이다.아시아태평양 지역목록 등재 신청 기록물은 오는 6월 15일까지 세계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 지역위원회에 등재신청서를 제출하게 되며, 올해 말 등재 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다.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 지역목록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프로그램에 따라 세계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 지역위원회에서 시행하는 목...
2022-04-07
문화재청,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발간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사진 문화재청)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사)성보문화재연구원(원장 현문 스님), 국립문화재연구원(직무대행 김성일)과 ‘대형불화(괘불)정밀조사’ 사업의 2021년 성과를 담은 보고서를 발간했다.이번 보고서에는 △갑사 삼신불 괘불탱(국보) △율곡사 괘불탱(보물) △금당사 괘불탱(보물) △운흥사 괘불탱 및 궤(보물) △용흥사 삼불회 괘불탱(보물) △안국사 영산회 괘불탱(보물) △서울 흥천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보물) 등 총 7건이다.한편, 올해에는 △장곡사 미륵불 괘불탱(국보) △진천 영수사 영산회 괘불탱(보물) △통영 안정사 영산회 괘불도(보물) △문경 김룡사 영산회 괘불도(보물) △남해 용문사 괘불탱(보물) △서울 청룡사 삼신불 괘불도 등 6건을 대상으로 정밀 조사를 시행할 예정이다.이재우 기자 san1080@nate.com
2022-04-04
국립중앙박물관, 도쿄국립박물관 소장 불교조각품 특별 공개
목조대일여래좌상(왼쪽)과 목조아미타여래좌상(사진 출처[ColBase(https://colbase.nich.go.jp)]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민병찬)은 4월 5일부터 2023년 10월 9일까지 세계문화관 일본실에서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소장 불교조각품 5점을 특별 공개한다. 이번에 공개되는 조각품은 12~13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목조대일여래좌상과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목조아미타여래입상(1192~1333) 등이다.박물관 측은 “일본 불교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밀교, 정토교, 신불습합의 불교조각품으로 구성하여일본 불교 조각의 세계를 만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국립중앙박물관은 세계문화관 일본실과 인도·동남아시아실도 일부 교체했다. 일본실에서는 우지강이 흐르는 다리 아래 버드나무와 물레방아를 표현한 ‘유교수차도’와 600년 전 이상적인 봄 풍경을 그린 ‘수묵산수화’, 그리고 에도(도쿄의 옛 이름)에서 교토로 떠나는 여정을 담은 채색...
2022-04-04
국립부여박물관, ‘백제 문양전’ 실감 콘텐츠 공개
연꽃들의 향연(사진=국립부여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관장 윤형원)은 4월 5일 부여 외리에서 출토된 ‘백제 문양전’을 활용한 실감형 디지털 콘텐츠를 일반 관람객에게 공개한다.1937년 충남 부여 규암면 외리 유적에서는 산수, 연꽃, 구름, 봉황, 용, 도깨비 등 여덟 종류의 ‘백제 문양전’이 발견됐다. 제작과정을 보여주는 것으로 시작되는 ‘백제 문양전’ 콘텐츠는 연꽃도깨비무늬벽돌과 산수도깨비무늬벽돌 속 도깨비들이 잠에서 깨어나듯 튀어나와 문양전 속 연꽃과 산수에 생명을 불어넣고 여기에 호기심을 자극하는 사운드가 가미되어 우리들의 눈과 귀를 사로잡는다. 이번에 선보이는 백제 문양전 실감 콘텐츠는 고해상도 6K 몰입형 영상으로 제작되어 전시실 로비 어느 방향에서도 관람이 가능해 누구나 쉽게 감상할 수 있다.‘백제 명품, 백제 문양전’ 콘텐츠는 ‘백제금동대향로’ 콘텐츠와 함께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매시 정각(1일 7회 운영)에 교차 상영될 예정으로 사...
2022-04-04
한국사찰음식문화체험관, 봄맞이 프로그램 개편
한국불교문화사업단(단장 원경 스님·이하 문화사업단)이 운영하는 한국사찰음식문화체험관에서 4월부터 프로그램 개편을 진행한다. 한국사찰음식문화체험관은 4월 봄나물을 주제로 한 제철 사찰음식 강좌를 확대하여 진행할 예정이다. 4월 정기강좌로는 매주 화요일과 수요일에 봄나물강된장비빔밥, 봄나물 구절판 등 봄기운이 가득한 사찰음식을 사찰음식 전문가 스님들을 통해 배울 수 있는 ‘봄맞이 한상차림’과 ‘스님손맛 반찬비법’이 진행된다.또한 사찰음식 입문자를 위한 △사찰음식 첫걸음 △간편 사찰음식 강좌와 외국인을 위한 △K-Temple food 강좌 △봄맞이 사찰김치 특강 등 사찰음식을 주제별로 배울 수 있는 일일체험 강좌도 진행된다.이번 프로그램 개편을 기념하여 4월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기념품을 증정하는 이벤트도 진행할 예정이다. 프로그램 참가 접수는 한국사찰음식문화체험관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다.이재우 기자 san1080@nate.com
2022-04-01
선진 스님 초대전 ‘바로 지금 여기’ 개최
비로자나국제선원 갤러리 까루나는 설치미술가 선진 스님의 ‘바로 지금 여기’ 초대전을 개최한다.4월 2일부터 29일까지 열리는 이번 전시에는 ‘꿈의 나비’ ‘지금 여기’ ‘백팔 번뇌’ ‘무의 향기’ ‘삼매(三昧) 환(幻)’ 등 21점의 설치작품이 전시된다.선진 스님은 “진리는 먼 데 있지도, 특별할 것도 없다. 보고 듣고 말하고 맛보고 느끼고 아는 마음, 그 마음을 알아차림이 곧 깨달음”이라면서 “바로 지금 여기에서 본래의 마음을 알라는 뜻에서 전시회의 타이틀을 ‘바로 지금 여기’라고 정했다”고 설명했다.2000년부터 보현암에서 주지를 맡고 있는 선진 스님은 불상이나 탱화에 각종 물건을 넣는 전통불교의식인 불복장 전문가이자 현대 설치미술가로 활동하고 있다. 2006년 우주의 소리를 미술로 표현한 ‘옴’전으로 설치미술 활동을 시작해, 2013년 ‘천강월(千江月)’전, 2017년 ‘지금 여기(卽時現今)’전 등 12번의 개인전을 열었다.김보배 기자 84bebe@hanmail.net
2022-03-31
문화사업단, 코로나 대응 의료인 대상 템플스테이
한국불교문화사업단(단장 원경 스님·이하 문화사업단)이 코로나19 대응에 앞장선 의료인 및 방역 관계자를 위한 특별 지원 프로그램 ‘토닥토닥 템플스테이’를 실시한다.토닥토닥 템플스테이는 3월 21일부터 12월까지 전국 100여개 사찰에서 진행되며, 코로나19 대응 의료인과 방역 관계자에 최대 3박 4일간, 동반 1인까지 휴식형 템플스테이를 무료로 체험할 수 있다. 신청은 템플스테이 예약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며, 선착순 1,500명이다.토닥토닥 템플스테이를 참가하려면 템플스테이 예약 홈페이지에서 예약 후 사찰에 코로나 19 대응 근무 내용이 담긴 확인서를 근무지로부터 받아 제출하면 된다. 병원 근무자는 재직 증명서로도 증빙 가능하다.문화사업단장 원경스님은 “코로나19 확진자 증가로 인해 의료진 및 방역 관련 업무를 보시는 분들의 심리적 부담감과 피로감이 클 것”이라며 “아름다운 산사에서 휴식을 통해 마음의 위로와 치유를 받아가길 바란다”고 전했다.한편, 문화사업단은 템플스테이 20주년을 ...
2022-03-21
사찰음식 전문점 ‘발우공양’…봄 신메뉴 출시
조계종 사찰음식 전문점 ‘발우공양’이 3월부터 5월까지 봄 신메뉴를 선보인다. 이번 봄 메뉴는 겨울을 이겨내느라 지친 마음과 몸을 보듬어 주는 향긋한 봄나물을 활용하여 구성했다.발우공양은 선식(禪食), 원식(願食), 마음식(念食), 희식(喜食), 법식(法食)의 5가지 코스를 선보이는데, 코스별로 메뉴 구성이 조금씩 다르다.선식, 원식, 마음식에는 더덕을 활용한 ‘더덕콩죽’과 ‘봄물김치’와 딸기즙으로 상큼함을 더한 ‘봄나물 냉채’로 봄을 느낄 수 있게 했다. 희식은 향긋한 미나리가 들어간 ‘미나리유부 된장찜’과 ‘봄나물 밀전병’, ‘봄나물 찹쌀탕’을 법식은 ‘송화다식’을 시작으로 ‘봄나물튀김’, ‘가죽순국수’, ‘청국장찌개’ 등의 구성을 선보인다.발우공양의 모든 코스 마지막에는 ‘오미자 민들레 조청을 곁들인 생강지짐’과 향긋한 ‘쑥차’가 제공된다.발우공양 관계자는 “사찰음식은 우리나라 고유의 음식문화 원형을 간직하고 있는 전통음식이며 우리의 몸과 마음이 튼튼해지는 건강식”이라며 “발우...
2022-03-02
“글로벌 브랜드로 도약하기 위한 사업 진행”
한국불교문화사업단(단장 원경 스님·이하 문화사업단)이 올해 ‘템플스테이 20주년’을 맞아 글로벌 브랜드로 도약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운영한다. 문화사업단은 3월 2일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의 확산에 따라 기자회견을 생략하고 기자회견문을 통해 템플스테이 20주년 기념사업을 발표했다. 문화사업단은 국민과 함께하는 20주년을 만들기 위해 ‘같이나눔 템플스테이’를 운영할 계획이다. ‘같이나눔 템플스테이’는 가족간의 관계 회복을 도모하기 위한 ‘부모님과 함께하는 라떼 템플스테이’, 스무살을 맞은 사회 초년생들의 마음을 위로하고 희망을 전달하는 ‘스무살 맞이 특별 템플스테이’ 등의 특별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특히 20주년을 맞아 아동복지시설, 한부모 가족, 다문화 가정, 어르신, 장애인 등에 이어 문화격차 완화를 위한 ‘문화누리카드’ 소지자까지 계층과 폭을 확대한 ‘마음 더하기 템플스테이’를 무료·할인 운영한다.더불어 ‘사찰음식 마음 더하기’ 사업을 통해 취약계층에게 사찰음식 체험기...
2022-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