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출판

인문학 독자를 위한 불교 경전 시리즈 ‘니까야·반야심경·육조단경’ 출간

밀교신문   
입력 : 2025-03-11  | 수정 : 2025-03-11
+ -

불광출판사


9791172611378-horz.jpg

 

불광출판사가 불교 경전의 핵심적인 내용만 쏙쏙 뽑아내 쉽고 대중적인 언어로 풀어내는 경전 소개서 인문학 독자를 위한 불교 경전시리즈 2차분을 출간했다.

 

금강경·법화경·화엄경으로 구성된 1차분 세 권과 마찬가지로, 니까야(최경아 지음반야심경(이태승 지음육조단경(김호귀 지음)으로 구성된 2차분 세 권 역시 한 손에 쏙 들어오는 작고 가벼운 판형으로 만들어졌다.

 

니까야는 역사적 인물로서 석가모니가 직접 설했던 가르침을 담고 있는 초기불교 경전이다. ‘인문학 독자를 위한 니까야는 방대한 니까야 문헌을 분석하여 불교의 핵심 중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가르침을 엄선하여 설명한다

 

반야심경은 대승불교의 진수인 공()에 대한 가르침을 품고 있는 경전이다. 특히, ‘인문학 독자를 위한 반야심경반야심경가운데 언급되는 오온, 십이처, 십팔계, 십이연기, 사제와 같은 불교의 기본 개념들을 간명하게 짚어보는 것은 물론, 일반인에게는 낯선 지혜륜 역 대본(大本) ‘반야심경과의 교차 검토까지 진행하며 공에 대해 살펴본다. 특히, 이 책은 대승불교의 핵심인 공을 선명하게 이해시켜준다.

 

육조단경은 중국 당나라 시대의 선승인 혜능(638713)의 어록으로, 한국 선불교를 포함하는 동아시아 선불교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인문학 독자를 위한 육조단경은 일반인에게 낯설게 여겨질 수 있는 육조단경의 내용을 잘 정리해서 소개하는 것은 물론, 그 내용 안에 담긴 심오한 의미를 명료하고도 평이한 언어로 풀어낸다.

 

불교 경전을 읽어보고 싶었으나 어디서부터 시작하면 좋을지 몰랐던 입문 독자, 경전을 읽어보긴 했는데 영 낯설어 잘 이해가 되지 않았던 인문학 독자들에게 유용한 안내서가 될 것이다.

 

이재우 기자 san1080@nat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