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사설

밀교신문 342호 사설

지현 주필   
입력 : 2001-08-17  | 수정 : 2001-08-17
+ -
일본 역사왜곡 규탄 법회를 열자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에 대한 우리 정부의 시정 요청에 대해 일본은 끝내 불가 결정을 통보해 왔다. 30여개의 수정 촉구 항복에서 불과 2개 항복 만을 수정하기로 한 채 나머지는 역사 인식에 따른 서로 다른 이론이 있으니 더 이상은 수정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일본 정부의 이런 그릇된 판단은 최근 일본 내부에 고조되고 있는 극우적인 성향에 영향이 있다고 생각되나, 우리로서는 이제 더이상의 시정 촉구가 아니라, 불가에 대한 우리의 결의와 실천을 보여줄 때라고 생각된다. 김대통령도 결코 용납될 수 없고, 끝까지 시정을 받아낼것이라고 하였지만, 정부의 정책적 대응만이 아니라 범국민적 차원에서, 민족 정기의 수호 차원에서 국민적 실천이 뒤따라야 한다고 본다. 우리 불교계는 그동안 한일불교친선협회 등을 통해 양국간의 과거사 청산은 물론, 불교 교류를 통한 우의와 친선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오는 10월에는 중국에서 3국친선 교류대회를 북한까지 포함하여 성대하게 개최할 계획도 예정되어 있는 것이다. 불교는 우선, 정부의 일본 대중문화개방 보류, 합창의장 방일취소 등 대처 방침을 적극 지지하며, 특히 일본의 대중문화개방에 대해서는 당분간의 보류가 아닌, 개장 그 자체를 심사숙고해 주기를 거듭 촉구한다. 더불어 불교 자체적으로는 기존의 한일친선교류협의회를 통한 불교도들의 전체적인 항의와 함께 범교단적 규탄법회를 열 것을 제안한다. 오는 10월 예정된 베이징 대회도 취소하는 것이 마땅하다. 일본의 그릇된 역사 인식은 우리에게 있어서는 더없는 굴욕이요, 치욕적인 처사이다. 이를 정부가 적절히 대처하지 못한다면 내부적인 국론 결집에도 상당한 후유증이 따를 것이다. 이 문제는 여야 정파를 떠나 단호하게 대처해야 한다. 국가간의 선린 우호란 자주성과 자존심을 바탕으로 해야만 존립될수 있는 것이다. 세월은 흘렀지만 우리의 민족 정기를 침탈했던 일본의 죄과는 소멸되기는커녕, 망령처럼 부활하고 있다. 호국불교의 진정한 면모를 이 기회에 다시한번 점검할 수 있기를 거듭 촉구한다. 1백주년 기념사업, 어디까지 왔나 회당탄생 1백주년 기념사업은 진각종단이 당면한 최대의 불사이다. 채 1년이 못남은 촉박한 행사 기간임에도 행사의 열기가 좀처럼 달아오르지 않고 있다. 93년도에 추진되었던 종조열반 30주년 행사와는 사뭇 대조가 되는 것이다. 물론, 행사가 떠들썩하고, 외형적인 열기가 고조되어야만 큰 행사가 되는 것은 아니다. 이 불사는 오히려 외화내빈의 겉치레 행사 이기 보다는 종단 발전의 계기로 삼는 실질적 기획사업들이 구체화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이번 행사의 열기에 대해 관심을 갖는 것은 행사 주제에 걸맞는 '참여' '화합'이 안되고는 기획불사들을 정착시킬 '회향'의 성과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문제는 관심이다. 관심없이는 '참여'도 안되고 '화합'도 안되는 것이다. 그럼으로 관심을 유발할 그 일차적인 책임이 있는 집행부에 좀더 분발을 촉구하고자 하는 것이 우리의 논지이며, 종단 각계 각층에서도 출범 2개월 밖에 안되는 집행부의 고충을 인식, 방관적 관심이 아닌, 적극적 관심을 요망하고자 하는 것이다. 지난 6.29 임시 종의회에서 보고된 바와 같이 26대 통리원장 선출로 인해 기념사업회의 재 정비가 늦어져 행사 일정에 차질이 빚어지고, 주관부처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런만큼 이 일에 더 불사의 우선 순위가 주어져야 하고 집중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종조열반 30주년 행사와 회당탄생 1백주년 행사는 종사적 차원에서 그 의미를 달리한다. 열반30주년은 과거지향적이고 신앙적 측면이 깊었지만 탄생1주년은 미래지향적이고, 대사회의 신행적 성격을 띄어야 하는 것이다. 진각종단은 중앙집권제 종단으로서 특유의 집중력으로 대작불사들을 추진하는 종풍을 갖고 있다. 그렇게 교육불사도 완비했으며, 복지불사도 성취해 나왔고, 이제 1백주년 사업을 통한 새로운 대내외적 도약의 기틀을 마련해야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