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만히 들여다보는 경전 4

편집부   
입력 : 2017-09-29  | 수정 : 2017-09-29
+ -

향기를 풍기다

살기 넘치는 세상에 선의 향기를 풍기자

뉴스를 보기가 무섭습니다. 범죄가 날마다 흉악해져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상대를 향해 모진 원한을 품은 범죄도 끔찍했는데, 이제는 이유 없이 그냥 홧김에 다른 사람을 다치게 합니다. 그런데 세상은 여기에서도 만족할 수 없나 봅니다. 심지어는 그저 재미로 다른 이를 해칩니다. 해치는 것에서 멈추지 않고 동영상으로 찍어 올리며 희롱합니다. 게다가 어떤 범죄자는 시신을 유기하거나 훼손하는 일도 저지릅니다.

뉴스는 비정하고 잔인한 세태를 생생하게 고발합니다. 하지만 이마저도 일부의 어떤 사람들에게는 학습효과가 됩니다.
‘아, 이렇게 하면 되는구나….’
더 끔찍한 것은 흉악범죄의 연령대가 점점 낮아지고 있다는 사실, 그리고 가족 간에 이런 비극이 저질러지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어쩌다 이렇게까지 되고 말았는지 모르겠습니다. 세상은 이성을 잃고 말았고, 비뚤어진 인정은 점점 더 피폐해져갑니다. 살기가 넘쳐납니다. 입을 열면 칼이 나와 사람들의 마음을 무자비하게 해치고, 손에 든 것은 흉기가 되어 사람들의 몸을 잔인하게 도륙합니다.

세상에 살기가 가득한 것이 말세입니다. 그런 말세의 세상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요? 흉악한 범죄의 세력이 너무 크니 개개인이 맞서기에 힘이 달립니다. 어떤 이는 이럴 때 강력한 권력자가 등장해서 악을 청소해버려야 한다고도 말합니다. 말세는 독재자를 부르게 마련이고, 독재자는 혜성같이 등장해서 막강한 권력으로 세상의 범죄와 사악함을 일소합니다. 하지만 독재자의 끝은 언제나 반인륜적이고 파괴적이고 치명적입니다.
그러기 때문에 우리는 개개인이 노력해야 합니다.

어떻게 노력하면 될까요?
가장 먼저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악을 일소하는 일입니다. 하지만 일소(一掃)는 무리입니다. 한 번에 완벽하게 없애버린다는 뜻의 ‘일소’는 또 다른 부작용을 낳고, 그 부작용은 더 무거운 악영향을 드리울 수 있습니다. 어쩌면 앞서 말씀드린, 독재자의 등장도 이것이 아닐까 합니다. 언제나 ‘악의 일소’를 외치지만 그 자신이 악의 화신이 되고 말았던 것을 우리는 역사에서 자주 봅니다.

결국,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이 줄기차게 노력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선하게 살려고 애를 써야 합니다. 왜냐 하면 선하면 우리 모두에게 이롭기 때문입니다. 한문으로 선(善)이라는 말은 쿠살라(kusala)입니다. 우리에게는 ‘착할 선’자인 그 ‘선’에는 작은 오해가 담겨 있는 것 같습니다. 착하게 사는 것이 좋은 것만은 아니라는 인식이 사람들 사이에 팽배해졌기 때문입니다.

착하게 산다는 것은 ‘부당하게 당해도 저항하지 않고 그냥 좋은 게 좋은 것이라고 여기며 견디면서 살아가는 삶’이라고들 여기는 것만 같습니다. 그러다보니 착하게 살면 나만 손해라는 생각이 세상에 퍼져 나갔고, 그래서 더 이상 착하게 살아서는 안 된다는 주장까지도 공공연하게 사람들 사이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건 정말 오해입니다.
선(善)은 힘이 셉니다. 왜 힘이 세냐고요? 초기경전을 읽다보면 선에 대해서 ‘나에게 해롭지 않고 남에게도 해롭지 않고 나와 남에게 함께 해롭지 않은 것’,  ‘나도 이롭고 남도 이롭고 나와 남이 함께 이로운 것’이라고 설명하는 구절을 자주 만납니다. 나에게도 이롭고 당신에게도 이로울 뿐만 아니라 우리가 함께 이로운 것이 선인데 그 선한 삶이 무기력할 리 없습니다.
그래서 무엇보다 선이 이긴다는 믿음을 저버리지 않아야 합니다. 당장은 힘들더라도 선한 끝은 있다는 믿음, 이 믿음이 실현될 때까지 우리는 애를 쓰고 공을 들여야 합니다.
부처님 당시에 이런 일이 있었습니다.

하늘에 복을 빌면서 그냥저냥 살아가던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이들은 복을 비는 마음은 간절하지만 그저 하늘에 빌기만 할 뿐입니다. 부처님은 이들을 만나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진실을 거짓이라 여기고 거짓을 진실이라 여기는 것은 잘못된 생각입니다. 이런 생각을 품으면 진짜 이익을 얻지 못합니다. 진실과 거짓을 분명하게 알아야 합니다. 이런 참다운 견해를 품어야만 진짜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진실과 거짓을 분별하는 눈을 가지려면 수행해야 합니다.”

사람들은 부처님의 말씀에 감동을 받습니다. 그리고 저마다 본격적인 수행자의 길을 걷겠다고 맹세합니다. 끝없이 일어나는 욕망을 채우기 위해 아등바등 살던 방식을 버리기로 합니다. 탐욕을 줄이고, 분노를 이기기 위해 노력하기로 결심합니다.

그런데 살아온 방식을 바꾸기란 쉽지 않았습니다. 살던 대로 사는 게 가장 편하기 때문입니다. 어느 사이 애초에 품었던 정진을 향한 의욕은 사그라들었습니다. 단단하게 다잡았던 마음 역시 느슨해지더니 자신도 모르게 바깥을 향해 관심이 몰렸습니다. 바깥세상은 수행의 길을 택했던 이들을 조롱이라도 하려는 듯 강하게 그들을 유혹했습니다. 유혹에 마음이 흔들리자 예전의 삶에 대한 그리움이 솟구쳤습니다. 그리움 끝에 그들의 마음에 슬픔이 찾아왔습니다.

때마침 비까지 구슬프게 내리자 이들은 더 처량한 생각에 사로잡혔습니다. 바로 그때 부처님께서 그들을 부르시고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지붕을 촘촘하게 잇지 않으면 비가 샌다. 그처럼 마음을 단속하지 않으면 온갖 어지러운 생각이 자리하게 될 것이요, 그러면 올바르지 않은 행동을 하게 된다. 지붕을 잘 이으면 비가 새지 않는 것처럼 마음을 잘 단속하라. 그러면 어지러운 생각이 사라지리라.”
부처님은 이렇게 간곡하게 말씀하셨습니다. 하지만 저들의 마음은 여전히 그리움에 물들어 있었습니다.
‘왜 편한 삶을 버렸을까?’
이런 후회에 사로잡힌 제자들의 모습을 살피던 부처님은 그들과 함께 길을 걷다 빗물에 젖은 종이 한 장을
한 사람이 집어들자 부처님이 물었습니다.
“무엇에 썼던 종이인가?”
“이것은 아마 향을 쌌던 종이인 것 같습니다. 버려진 지 한참 되었을 텐데도 향긋한 냄새가 풍깁니다.”
그러고 나서 조금 더 앞으로 나아갔을 때 길바닥에 버려진 새끼줄 한 토막을 발견하자 말씀하셨습니다.
“저 새끼줄을 집어 들어라. 무엇에 썼던 줄인가?”

한 사람이 말했습니다.
“비린내가 납니다. 분명 생선을 묶었던 새끼줄이었을 겁니다.”
그러자 부처님은 말씀하셨습니다.
“처음에는 종이나 새끼줄이나 아무 냄새가 나지 않았을 것이다. 깨끗한 흰색 천과 같았을 것이다. 하지만 보아라. 무엇을 담고 무엇을 가까이 했느냐에 따라 이렇게 그 냄새가 다르다. 인연을 따라 죄를 짓거나 복을 짓는 일도 그렇다. 종이가 향을 가까이 하면 향긋한 냄새가 풍기고, 비린 생선을 가까이 한 새끼줄에는 비린내가 풍기는 것을 보아도 알 수 있지 않느냐. 사람도 그와 같다. 그대들은 무엇을 가까이 하며 살아가는가. 가까이 하는 것에 차츰 물들고 그 냄새가 배게 마련이다. 그래서 어느 결엔가 가까이한 것의 향기가 배어들고 그 냄새를 풍기거늘, 사람들은 정작 자기 몸에서 어떤 냄새가 나는지 깨닫지 못한다.”

<법구비유경>에 나오는 이 이야기는 아주 유명합니다. 향을 쌌던 종이에서는 향긋한 냄새가, 생선을 묶었던 새끼줄에서는 비린내가 풍긴다는 비유를 모르는 이들은 없습니다. 그런데 이런 비유를 들기까지의 배경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선함과 악함, 바름과 그릇됨의 갈래길에서 갈등을 하는 중생의 모습이 나타납니다.
살던 대로 사는 것은 편합니다. 몸에 익었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그런 삶이 진정 나와 남에게 이롭지 않다면 우리는 과감히 버려야 합니다. 익숙함과의 결별은 쉽지 않습니다. 어쩌면 수행이란 이렇게 익숙하게 살아오던 중생의 삶의 방식을 버리는 일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리고 중생의 습관에서 벗어나려면 시간을 들여가면서 노력해야 합니다. 향긋한 내음이 내 몸과 마음에 깊숙하게 배어 들어서 주변을 향기로 감싸 안을 때까지 쉬지 말아야겠지요.

성불이니 깨달음이니 하는 거창한 목표를 생각하면 중생은 한없이 작아집니다. 하지만 단번에 성불하리라는 생각은 잠시 거두고, 천천히 향기가 스며들도록 해야겠습니다. 아무리 오랜 시간 길바닥에 버려져 햇빛과 비바람에 바래도 여전히 향기를 담고 있는 종이처럼 우리는 그렇게 선함과 올바름의 향기가 배어들게 해야겠습니다. 그 향기만이 서로를 다치는 살기(殺氣)를 이길 수 있을 것입니다.

9.29-3.jpg
이미령/불교방송 FM 진행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