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만다라

생활지도를 통한 마음수행, 마음수행을 통한 생활지도

편집부   
입력 : 2017-05-01  | 수정 : 2017-05-01
+ -

세상이 변했다. 학교현장 역시 변화를 피할 수 없었다. 아이들이 커졌다. 키도 커지고 아는 것도 많아졌다. 그리고 저마다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개성 있게 자신을 표현하는데 혼신의 힘을 쏟는다. 이러한 학교의 변화는 긍정적인 평가 속에서 우리가 보지 못했던 아쉬움을 담고 있다. 학생 생활지도를 하며 그 이면을 생생히 보고 경험하고 있다. 

짧은 교직 경력이지만 강렬하게 얻은 깨달음이 있다. 바로 학생의 모습을 통해 학부모의 모습을 볼 수 있다는 것. 반대로 상담을 위해 교사를 찾아온 학부모의 모습을 통해 학생의 모습을 발견하기도 한다. 선명한 거울은 아니지만, 무엇인가 반사되어 투영된 잔상이 강하게 남는다. 순전히 개인적 경험에 의한 결과지만 신기하게 이 인연의 적중률은 매우 높다.

학생들의 크고 작은 문제와 어려움을 듣고 해결해야 하는 업무 특성상 기분 좋게 학교를 방문하는 학부모를 만나기란 쉽지 않다. 학생들은 불만이 가득하고 억울하다. 그리고 부모들은 화가 잔뜩 난 채로 학교를 찾는다. 자기 자녀만은 다르다는 변호를 위해 비장한 각오로 교무실의 문을 연다. 그리고 진실에 대한 양보 없는 하루가 시작된다.

요즘 학교에서 심심치 않게 개최되는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이하 자치위)는 마치 작은 법정을 연상시킨다. 학생들의 억울함을 담은 여러 사안을 조사하고 관련 학생들을 면담한 담당교사는 내용을 정리하여 보고한다. 반면 상대측 학생과 보호자는 억울함을 호소한다. 때로는 강하게 불만을 표시한다. 자녀의 불이익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몸부림이다. 가끔 일방적으로 피해를 당한 학생을 보호하기 위한 자치위도 개최되지만, 사안을 깊숙이 들여다보면 그 학생 역시 피해를 예상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옳지 못한 상황에 함께 있었던 것이 발단이 되는 경우가 많다. 항상 원인과 결과는 함께하고 있었다.

학생들은 아직 성숙하지 못하다. 그래서 당장 현 상황을 모면하기 위해 말하고 생각한다. 심지어 착각(또는 거짓)을 굳게 믿고 결과로 드러난 상황을 주관적으로 편집한다. 그렇게 한 가지 사안이 다양한 모습으로 둔갑하어 진실은 곧 혼란이 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몇몇 부모들은 자녀들의 말만 전적으로 신뢰하고 학교를 불신한다. 부정의 시선이 만들어지는 순간이다. 결국, 절차를 따지고, 학교의 공정성에 불만과 불신을 만들기도 한다.

순수한 자녀 사랑이 자기중심적인 아집(我執)이 되어 부모와 자식의 문제, 즉 공업(共業)이 된다. 부모를 통해 학생의 문제가 보인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나만의 공식에 딱 맞아떨어지는 순간이다. 그 순간 내 머릿속을 스쳐 지나가는 회당 대종사님의 법어가 있다.

‘상대자의 저 허물은 내 허물의 그림자라. 남의 허물을 보지 말고 내 허물을 고칠지라(회당)’. 그리고 ‘자녀들의 저 허물은 내 허물의 그림자라’라는 회향참회문의 한 구절이 가슴 깊이 와 닿는다. 동시에 나는 어떠한 부모가 되어야 할 것인지 방향을 잡아본다. 자신을 돌아보고, 마음속으로 염송하며 내 마음의 근육을 길러낸다.
이러한 마음 수행을 통해 보다 성숙한 자세를 지닌 교사로서 내 언행과 가치관이 성장한다면 분명 아이들의 정서적인 면까지 깊은 울림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생활 속에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나침반 삼아 삶의 방향을 잡고 실천하는 모습이 함께한다면 그 또한 학생들에게 작은 습(習)이 되어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것이 바로 종립학교의 교사로서 나에게 주어진 사명을 묵묵히 수행해나가는 것이라고 마음속 서원을 해본다.

손성훈 교사/진선여중